본문 바로가기
가상자산

2025년 1월말 기준, 비트코인 상승장, 종료 신호인가 추가 상승 여력인가?

by *%$^^$% 2025. 1. 25.
반응형

최근 비트코인(BTC) 시장에 대해 엇갈린 분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부 온체인 데이터는 상승장 종료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는데요 투자자 관점에서 전문기관의 비트코인 전망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크립토퀀트 분석: 상승장 종료 신호?

1월 24일(현지 시각) 코인텔레그래프는 온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보고서를 인용하며 비트코인의 사이클 지수(IBCI)가 분배 구간에 진입했다고 보도했습니다. IBCI는 푸엘 멀티플(Puell Multiple), 소비 산출 이익 비율(SOPR), 순 미실현 이익/손실(NUPL) 등 7가지 온체인 지표를 종합해 시장 상태를 평가합니다.

 

더보기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온체인 데이터(On-chain Data)와 시장 분석 도구를 제공하는 글로벌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입니다. 주로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을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 자산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하여 투자자와 기관에게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크립토퀀트에서 제공하는 IBCI의 결과를 통해 암호화폐 투자 전망을 파악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IBCI는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BCI(비트코인 사이클 지수)는 크립토퀀트(CryptoQuant)에서 개발한 지표로, 비트코인 시장의 주기를 평가하기 위해 7가지 주요 온체인 데이터를 종합한 분석 도구입니다. 아래는 이 지표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와 각각의 의미를 상세히 설명한 내용입니다.


1. 푸엘 멀티플(Puell Multiple)

  • 정의: 비트코인 채굴자들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채굴자들이 얻는 일일 비트코인 발행량의 USD 가치와 1년 평균 발행량의 USD 가치를 비교해 계산됩니다.
  • 의미:
    • 값이 낮을수록 채굴자들이 낮은 수익성을 보여 매도 압력이 적을 가능성이 큽니다.
    • 값이 높으면 채굴자들의 수익성이 극대화되어 매도 압력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소비 산출 이익 비율(SOPR, Spent Output Profit Ratio)

  • 정의: 거래가 이루어진 비트코인의 판매 가격과 구매 가격을 비교한 지표로, 전체 시장이 이익 상태인지 손실 상태인지를 평가합니다.
  • 의미:
    • SOPR > 1: 대부분의 거래가 수익을 동반하며, 강세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합니다.
    • SOPR < 1: 대부분의 거래가 손실 상태로, 약세장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3. 순 미실현 이익/손실(NUPL, Net Unrealized Profit/Loss)

  • 정의: 전체 시장 참여자의 평가 손익을 나타내는 지표, 미실현 이익과 손실의 차이를 시장 시가총액으로 나눈 값
  • 의미:
    • NUPL > 0: 시장에 미실현 이익이 많아 투자 심리가 긍정적.
    • NUPL < 0: 시장에 미실현 손실이 많아 투자 심리가 부정적.

4. MVRV 비율(Market-Value-to-Realized-Value Ratio)

  • 정의: 시장 가치(Market Value)와 실현 가치(Realized Value)의 비율, 비트코인의 현재 가격이 과대평가 또는 과소평가되었는지를 평가
  • 의미:
    • MVRV > 1: 비트코인이 과대평가 상태일 가능성.
    • MVRV < 1: 비트코인이 과소평가 상태일 가능성.

5. 해시 리본(Hash Ribbon)

  • 정의: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채굴 해시레이트(연산력) 변화를 추적하며 채굴자들의 시장 참여 강도를 평가하는 지표
  • 의미:
    • 해시레이트 증가: 시장 신뢰도가 높아지고 상승 가능성 증가.
    • 해시레이트 감소: 채굴자들의 포기가 늘어나는 약세장 신호.

6. 롱/숏 비율(Long/Short Ratio)

  • 정의: 파생상품 시장에서 롱(매수)과 숏(매도) 포지션의 비율을 비교한 값
  • 의미:
    • 롱 비율 증가: 시장에 상승 기대감이 크다는 신호.
    • 숏 비율 증가: 하락 압력이 강할 가능성을 시사.

7. 거래소 유입/유출 비율(Exchange Inflow/Outflow Ratio)

  • 정의: 거래소로 유입되는 비트코인과 거래소에서 유출되는 비트코인의 비율
  • 의미:
    • 유입량 > 유출량: 매도 압력이 커질 가능성.
    • 유출량 > 유입량: 매도 압력이 줄어들고, 장기 보유 심리가 강함을 의미.

결론적으로 IBCI는 위의 7가지 지표를 통합해 단일 값으로 나타내는데 다음과 같이 평가하면 됩니다. 

  • 값이 높을수록: 상승장이 종료되고 시장 참여자들이 수익 실현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값이 낮을수록: 시장이 강세장 초기 단계 또는 저평가 상태일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IBCI는 비트코인 시장의 전체 흐름을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투자자들이 전략을 세울 때 중요한 참고 지표로 활용됩니다.

 

크립토퀀트 애널리스트 가아(Gaah)는 "IBCI가 8개월 만에 처음으로 분배 구간에 진입했으며, 이는 시장이 상승 사이클 종료 단계에 가까워졌음을 의미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추가 상승 가능성도 존재

그러나 모든 지표가 부정적인 신호를 보내는 것은 아닙니다. 가아는 푸엘 멀티플이 아직 역대 최고 수준(6 이상)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현재 시장에 추가적인 상승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IBCI가 100%에 도달하면 하락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크지만, 현재 수준에서는 추가 상승 여지가 남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티모시 피터슨: 비트코인 13만 7천 달러 전망

네트워크 경제학자 티모시 피터슨은 단기적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13만 7천 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이번 상승장이 2015~2017년 강세장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후 조정 가능성도 경고하며 장기적으로는 비트코인 가격이 2035년까지 150만 달러에 이를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했습니다.

주요 금융 기관의 의견

  • 글래스노드(Glassnode)는 최근 보고서에서 시장 참여자들의 수익 실현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며, 상승장 종료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 반면,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비트코인 가격이 거시적 경제 환경, 특히 금리 변동과 달러 약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추가 상승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결론: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 필요

비트코인 시장의 전망이 엇갈리는 가운데, 단기적인 변동성과 조정 가능성을 염두에 둔 투자 전략이 필요합니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인 비트코인의 유용성과 희소성을 기반으로 신중하고 전략적인 접근을 조언하고 있습니다.

 

출처: 코인텔레그래프, 크립토퀀트, 글래스노드, 골드만삭스

반응형

댓글